반응형

주식 8

[주식] 제대로 된 분산 투자 방법 (책『나의 첫 주식 교과서』)

이 글은 강방천, 존리의 『나의 첫 주식 교과서』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분산 투자의 필요성 투자는 항상 리스크를 통반하기 때문에 투자한 주식에 모두 수익이 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이러한 투자 리스크를 완화시키기 위해서 분산 투자를 해야 합니다. 15~20개의 종목에 분산 투자를 해야 하며, 처음부터 15~20개 종목을 한꺼번에 사는 것이 아니라 한 종목씩 늘려나가는 방식으로 투자해야 합니다. 분산 투자의 스타일 2가지 분산 투자에는 2가지 스타일이 있습니다. 1. 톱다운(Top Down) 탑다운 스타일의 분산 투자 방식은 투자하고 싶은 분야나 비중을 미리 정해두고 하는 것입니다. 말 그대로 위(top)에서 아래(down)를 바라보는 시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헬스케어 종목에 무조건 투자해야 한..

주식 정보 2022.12.28

기업 '미래 이익' 계산 & 변수 3가지 (책『나의 첫 주식 교과서』)

이 글은 강방천, 존리의 『나의 첫 주식 교과서』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기업 확장의 종류 기업의 이익을 계산하는 공식이 있습니다. 이에 앞서 먼저 기업 확장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업의 미래 이익을 구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확장 가능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기업 확장의 종류로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상품의 확장 새로운 서비스를 추가해서 매출과 이익을 늘리는 방법입니다. 카카오의 경우 카카오톡을 시작으로 현재는 카카오택시, 카카오게임즈, 카카오뱅크 등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2. 지역의 확장 글로벌 기업들이 이에 해당합니다. 애플의 경우 아이폰이라는 상품 하나로 2,000조원이 넘는 시가총액을 만들었는데요, 이는 전 세계가 그들의 시장이었기 때문입니다. 기업 이익..

주식 정보 2022.12.26

좋은 주식 고르는 방법 5단계 (책『나의 첫 주식 교과서』)

이 글은 강방천, 존리의 『나의 첫 주식 교과서』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좋은 주식을 고르는 절차 오늘은 좋은 주식을 고르는 절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5가지 단계가 있으며 이를 따라하면 좋은 주식을 고를 수 있습니다. 1단계. 산업의 존재 분석(효용, 가격, 인프라) ★ 기업을 분석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은 해당 산업이 계속 존재할 것인지를 분석하는 것입니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다음 3가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1) 이 산업이 앞으로도 계속 소비자들에게 효용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인지 2) 가격이 효용에 맞게 책정돼 있는지 가격의 종류로는 미래 가격과 상대 가격이 있습니다. 지금 당장엔 비싸게 느껴지더라도 미래에는 떨어질 수 있고, 미래에 소비자들이 감내할 수 있는 가격이라면 현재 비싼 가격이..

주식 정보 2022.12.26

[주식] 어떤 비즈니스 모델에 투자해야 할까? (책『나의 첫 주식 교과서』)

이 글은 강방천, 존리의 『나의 첫 주식 교과서』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이런 비즈니스 모델에 투자하라! '어떤 종목을 살까'를 고민하는 것은 투기입니다. '어떤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에 투자할까'에 대해 고민하는 것이 투자입니다. 오늘은 어떤 비즈니스 모델에 투자해야 하는지 키워드로 알아보겠습니다. 키워드 1. 고객 고객이 쉽게 떠날 수 없는 기업 고객이 쉽게 떠날 수 없는 기업이란, 우리 삶을 지배하는 기업을 말합니다. 그 기업의 제품 또는 서비스가 없으면 우리의 삶이 불편해지는 기업이죠. 이런 기업을 찾기 위해서는 우리의 생활을 살펴보면 됩니다. 예를 들어, 아침에 눈을 뜨면 우리는 제일 먼저 스마트폰을 보며, 하루 종일 손에 쥐고 있습니다. 특히 애플의 경우 고객이 쉽게 떠날 수 없도록 자신의 생태계..

주식 정보 2022.12.23

[주식] PER 대신 강방천식 'K-PER'란? (+구하는 방법)

PER와 K-PER 비교 책 『나의 첫 주식 교과서』에서 저자 강방천은 PER(주가수익비율)의 한계를 지적했습니다. PER는 현재의 이익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가치측정 도구로 활용할 때 한계가 있다고 말합니다. ↓ PER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 [주식 용어] PER, PBR, PCR, PSR (간단한 설명!)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 초보를 위해 주식 용어를 쉽게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오늘 알아볼 용어는 PER, PBR, PCR, PSR입니다. PER(주가수익비율) 오늘 알아볼 용어 중에서 PER가 가장 중요하므로 가 curiocity.tistory.com 그래서 강방천은 자신이 직접 K-PER를 고안했습니다. K-PER는 PER(주가수익비율)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보는 것입니..

주식 정보 2022.12.22

[주식] MDN을 눈여겨 보아라 :: 책『나의 첫 주식 교과서』

MDN(Mobile Digital Network)이란? 생산 요소 3가지는 토지(렌트비), 노동(인건비), 자본(이자)을 일컫습니다. 책『나의 첫 주식 교과서』에서 강방천은 생산 요소 4가지를 주장합니다. 이는 바로 MDN(모바일 디지털 네트워크)으로 새로운 세상을 판단할 수 있는 제4의 생산 요소입니다. MDN이라는 새로운 가치를 생산의 네 번째 요소로 설정을 해야지만, 구글이나 아마존과 같은 혁신 기업들의 비싼 주가를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MDN이란 Mobile Digital Network의 약자로, 말 그대로 모바일 디지털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을 의미하니다. 스티브 잡스의 아이폰으로부터 시작한 모바일 시대는 혁명처럼 다가와서 우리 삶을 많이 바꿨습니다. 이처럼 기업의 가치를 비교할 때는..

주식 정보 2022.12.21

주식에 접근하는 올바른 관점 (+좋은 주식 고르는 법)

돈을 잘 버는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자면서도 돈을 버는 방법 남들이 대신 벌어주는 방법 시스템이 돈을 벌어주는 방법 꿈만 같은 이 방법은 무엇일까요? 바로 주식입니다. 주식에 입문하고 싶지만 알아야 할 게 너무 많다는 생각에 머뭇거리고 계시다면, 이 글을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이 글은 강방천과 존리의 『나의 첫 주식 교과서』에서 발췌하여 편집했습니다. 이 글은 주식 투자 경험이 없는 주식 초보를 위한 글로써, 장황하고 어려운 용어가 아닌 알기 쉽게 쓴 주식 입문 글입니다. 주식 초보일수록 올바른 주식 관점을 가지고 접근하는 게 중요합니다. 이 글을 읽으면 올바른 주식 관점을 갖는 데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주식에 접근하는 올바른 관점 주식 투자를 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여러 사업을 내가 직접 하는..

주식 정보 2022.12.20

[주식초보] 재무제표 보는 올바른 순서 (미래 이익 분석)

재무제표를 통해 미래 이익 분석하기 대부분의 사람들은 재무제표를 볼 때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먼저 봅니다. 하지만 현금흐름표를 먼저 본 후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보는 것이 더 좋습니다. 재무제표를 보는 올바른 순서 우선 현금흐름표를 봅니다. 현금흐름표는 크게 영업활동현금, 투자활동현금, 재무활동현금으로 분류됩니다. 이 세 가지를 더해 현금의 증감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자금조달 방식이나 투자자금 흐름의 변동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이 현금흐름의 결과가 재무상태표에 나타납니다. 그 다음 재무상태표를 봅니다. 재무상태표는 간단하게 기업의 부채와 자산의 합인 자본을 나타낸 표입니다. 자산은 크게 유동자산, 고정자산으로 나뉘며 부채 역시 유동부채, 고정부채로 나뉩니다. 이를 통해 기업..

주식 정보 2022.12.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