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DN(Mobile Digital Network)이란?
생산 요소 3가지는 토지(렌트비), 노동(인건비), 자본(이자)을 일컫습니다.
책『나의 첫 주식 교과서』에서 강방천은 생산 요소 4가지를 주장합니다. 이는 바로 MDN(모바일 디지털 네트워크)으로 새로운 세상을 판단할 수 있는 제4의 생산 요소입니다. MDN이라는 새로운 가치를 생산의 네 번째 요소로 설정을 해야지만, 구글이나 아마존과 같은 혁신 기업들의 비싼 주가를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MDN이란 Mobile Digital Network의 약자로, 말 그대로 모바일 디지털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을 의미하니다. 스티브 잡스의 아이폰으로부터 시작한 모바일 시대는 혁명처럼 다가와서 우리 삶을 많이 바꿨습니다. 이처럼 기업의 가치를 비교할 때는 MDN을 활용하는 기업에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해야 합니다.
전통적인 3대 생산요소와 MDN의 차이
3대 생산요소 (토지, 노동, 자본) | MDN |
유형 | 무형 |
고정성 | 이동성 |
폐쇄성 | 개방성 |
분할 | 연결 |
소유 | 활용 |
재무제표 기표 가능 | 재무제표 기표 불가 |
한계생산성 체감 | 한계생산성 체증 |
승자 저주 | 승자 독식 |
자료 출처: 강방천, 존리 『나의 첫 주식 교과서』
반응형
'주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PER 대신 강방천식 'K-PER'란? (+구하는 방법) (0) | 2022.12.22 |
---|---|
[주식] 이익의 질 판단하는 4가지 기준 :: 책『나의 첫 주식 교과서』 (0) | 2022.12.21 |
주식에 접근하는 올바른 관점 (+좋은 주식 고르는 법) (1) | 2022.12.20 |
[주식초보] 재무제표 보는 올바른 순서 (미래 이익 분석) (0) | 2022.12.20 |
[주식] 투자할 회사의 가치를 확인하는 방법 3가지 (0) | 2022.12.20 |